올해 1분기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전망치를 밑돌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6회 작성일 25-04-24 10:27

본문

올해 1분기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전망치를 밑돌며 역성장했다. 2년 3개월(9분기) 만에 가장 부진한 분기 성장률이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며 경제 심리가 위축된 데다 건설경기가 예상보다 부진하면서 내수와 수출이 모두 둔화했다. 대형 산불과 고성능 반도체(HBM) 수요 이연 등 일시적 요인까지 더해지면서 역성장을 면치 못했다. 2분기 들어서도 내수 회복이 더딘 데다 미국발 관세 충격에 따른 수출 부진 역시 예고돼 있어 올해 경제 성장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다.한국은행은 24일 올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이 전 분기 대비 0.2%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소수 둘째 자리까지 보면 -0.24%다. 이는 한은이 지난 2월 경제전망 당시 내놓은 수치(0.2% 증가)를 크게 밑도는 수준으로, 2022년 4분기(-0.5%) 이후 2년 3개월 만의 최저치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2분기(-0.2%) 이후 세 분기 만에 다시 마이너스 성장에 머물렀다. 수출·내수 동반 부진…HBM 수요 이연·심리 위축 영향올해 1분기 수출과 내수 모두 부진했다. 수출은 화학제품 등이 감소하며 역성장했고, 내수도 건설투자와 설비투자, 민간소비, 정부 소비 등에서 전반적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면치 못했다. 수출은 화학제품, 기계 및 장비 등이 줄어 1.1% 감소했다. 지난해 3분기에 이은 마이너스 성장이다. HBM 수요 이연 등 일시적 요인이 작용했다. 수입은 원유·천연가스 등 에너지류를 중심으로 2.0% 줄었다. 지난해 1분기(-0.4%) 이후 네 분기 만의 역성장이다. 내수는 전반적으로 부진했다. 건설투자는 네 분기째 골이 깊은 마이너스 성장을 면치 못하고 있다. 1분기 건설투자 성장률은 건물 건설을 중심으로 전기 대비 3.2% 줄었다. 건설투자는 투자심리 회복이 지연된 요인뿐 아니라 착공 위축에 따른 공사실적 부진, 일부 공사 중단, 한파·폭설 등 이례적 요인으로 공사 진척에 차질이 생기면서 감소세를 지속했다. 설비투자 역시 미국 통상정책 불확실성 확대 영향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되면서 반도체제조용장비 등 기계류를 중심으로 2.1% 감소했다. 민간소비는 오락문화, 의료 등 서비스 소비가 부진하면서 0.1% 줄었다. 정부 소비 역시 건강보험 급여비 지출 등이 줄며 0.1% 감소했다. 지출 항목별 1분기 성장률 기여도를 보면, 내수 부진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내수의 성장 기여도 [이데일리 김윤지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145%에 달하는 대중(對中) 관세율 재조정을 시사했다. 23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 집무실에서 고등교육 기관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한 후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 중이다.(사진=AFP)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그는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식 후 질의응답에서 ‘대중 관세율이 얼마나 빠르게 내려갈 수 있느냐’는 질문에 “그건 중국에 달려 있다”고 답했다. 그는 “우리는 현재 90개국과 이야기를 나눴고 모두 공정한 거래를 원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훌륭한 거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향후 2~3주 내에 관세율을 정할 것”이라면서 “여기에 중국이 포함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과 무역 협상 진행 과정을 묻는 질문에 “매일 하고 있다”고도 답했다.같은 날 미국의 무역 협상을 주도하는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 또한 워싱턴 D.C.에서 열린 국제무역금융연구소(IITF) 연설에서 “지속적인 극심한 무역 불균형 상태는 미국뿐만 아니라 다른 경제에도 지속 가능하지 않다”면서 중국과 균형을 맞춰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베센트 장관은 일방적인 대중 관세 철폐는 없겠으나 ‘빅딜’(대중 관세율 대폭 인하) 기회는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 관련 자동차에 한해 더욱 높아질 수 있다“면서 우리는 캐나다의 자동차를 원하지 않고, 미국에서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외국산 자동차에 대한 25%의 품목관세를 부과하고 있다.그는 전날 해고설을 일축한 미국 중앙은행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 fed)의 제롬 파월 의장과 관련해 “그가 실수를 했다고 생각한다”면서 “(내가 지난 1월 취임한 이후)연준은 금리를 인하하지 않는 실수를 저지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아직 나는 파월에게 전화하지 않았지만 조만간 할지도 모른다”고 부연했다. 그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회동 가능성도 내비쳤다. 그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푸틴 대통령과 회담이 이뤄질 수도 있으나 사우디 순방 이후 푸틴 대통령을 만날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말했다. 그는 오는 26일 바티칸에서 열리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식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조우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