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인교준 기자 = 대만군이 중국의
(서울=연합뉴스) 인교준 기자 = 대만군이 중국의 침공에 대비한 최장 군사훈련인 '한광 41호' 훈련을 시작한 9일 이후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간 군사력 과시 신경전이 가열되는 양상이다.대만은 최신형 미국 M1A2T 에이브럼스 전차의 실사격 훈련을 처음으로 공개 실시했고, 중국은 항공모함 탑재용 4.5세대 다목적 전투기 J(젠)-15T를 공개한 데 이어 5세대 스텔스 전투기 J-35 생산시설을 슬그머니 내비치는 식으로 대만을 위협했다.대만 매체들이 당국의 지원 아래 열흘간의 한광 41호 훈련을 주요 뉴스로 보도하자 중국 언론들도 인민해방군의 대응 훈련을 반복적으로 전하는 등 '기 싸움'도 벌어지는 모습이다. 미제 M1A2T 전차의 실사격 훈련 모습 [대만 중앙통신사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11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대만중앙통신사(CNA) 등 중화권 매체들에 따르면 전날 대만 북부 신주현 신펑향 컹쯔커우 사격장에서 M1A2T 에이브럼스 전차의 화력 훈련이 실시됐다.'헌터-킬러 시스템'에 기반한 M1A2T 전차는 적 차량으로 지정된 4대를 향해 19발의 포탄을 발사해 모두 명중시켰다.M1A2T 전차는 미 육군 주력이었던 M1A2 전차의 전자장비와 엔진 등을 포함해 사실상 전체를 뜯어고친 MIA2 SEPV3(M1A2C) 전차의 대만 수출형 버전이다. 열화우라늄 소재 장갑판이 쓰이는 M1A2C(1천㎜ 이상 방어력)와는 달리 M1A2T는 복합장갑판을 사용하지만, 그 성능(700㎜급 방어력)에선 큰 차이가 없다. 중국군의 침공을 우려하는 대만군은 지상전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M1A2T 전차 도입을 서둘렀다. 대만군은 M1A2T 전차 108대를 구매했으며 올해 42대, 내년에 28대가 각각 인도된다. 작년 12월 중순 대만에 도착한 M1A2T 전차는 하반기 실전 배치된다.대만 국방부에 따르면 M1A2T 전차는 수도 타이베이와 주요 정부 기관이 있는 대만 북부 방어를 맡은 제6군단에 배치될 예정이다. 전날 M1A2T 전차 화력 훈련에 라이칭더 대만 총통이 참관했다.라이 총통은 "M1A2T 전차가 지구상에서 가장 강력하다는 명성에 걸맞다"며 "향후 대만의 방위 전략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SCMP는 전했다.대만군은 한광 41호 훈련 첫날부터 사흘간 중국 인민해방군의 회색지대 전술 대응 훈련에 이과거에는 우울증을 단순히 의지력 부족 문제로 여기는 시각이 있었다. '마음을 독하게 먹고 견디면 우울한 감정도 쉽게 사라진다'는 충고는 마음의 감기를 앓는 이들에게 큰 고통을 가했다. 이러한 시선은 비만을 대하는 태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독한 마음으로 적게 먹고 많이 움직이면 된다'는 손쉬운 처방과 달리, 현실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아 많은 이들을 낙담하게 만들었다.하지만 런던 유니버시티 칼리지 병원에서 20년간 비만 연구에 힘써온 앤드루 젠킨슨은 "(체중 조절은) 의지력의 문제가 아니라 음식을 바라보는 관점과 이해 방식의 문제"라고 말한다.2023년 체중 120kg이던 존슨 씨는 위소매절제술로 위의 3분의 2를 절제했다. 물리적으로 섭취 가능한 양을 줄이는 수술이었다. 당시 수술을 지켜본 의대생들은 "의지력을 발휘해 절제하면 굳이 수술까지 받을 필요가 있느냐"며 의문을 품었다. 이에 저자는 '렙틴'과 '인슐린' 호르몬이 제대로 조절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아무리 독한 마음을 먹어도 의지력을 발휘하기 어렵다고 단언했다.렙틴은 지방세포에서 분비돼 식욕에 영향을 주는 호르몬이다. 체내 지방량을 뇌에 알려 에너지 사용량을 조절한다. 렙틴 농도가 높아지면 시상하부가 이를 감지해 포만감을 증가시키고 식욕을 줄인다. 하지만 설탕과 정제 탄수화물이 많은 음식을 먹으면 췌장에서 생성된 인슐린이 렙틴의 신호 전달을 방해해 뇌가 오판을 하게 된다고 젠킨슨은 설명한다. 오히려 식욕이 더 커지고 에너지 소비는 줄어드는 부작용이 나타난다.이때 위에서는 그렐린이라는 강력한 식욕 호르몬이 분비된다. 이는 체중 감소를 위기로 인식해 시상하부를 자극하며 강한 식욕을 일으킨다. 식사량을 줄이면 체중이 조금 감소하지만, 피로와 허약함이 지속되어 결국 음식을 다시 찾게 되고, 식이요법은 실패할 수밖에 없다고 저자는 강조한다. 위소매절제술은 이 그렐린 호르몬 생성을 원천 차단하는 수술로, 저자는 이를 질병 치료의 일환으로 본다. "사람들은 탐욕과 게으름을 비만의 원인으로 여기지만, 사실은 질병에 걸려 이런 행동을 하는 것이다."그렇다면 운동만으로 살을 뺄 수 없을까. 저자는 그렇다고 말한다. 신체의 기초대사량은 매우 뛰어난 상황 대응력을 가지고 있어서, 음식 섭취량을 줄이면 에너지 소비를 줄여 기존 체중을 유지하려 한다고 설명한다. 실제로 미국 인류학자 허먼 폰처의 연구에 따르면 하루 1만9000보를 걷는 아프리카 사냥꾼과 미국 대도시
(서울=연합뉴스) 인교준 기자 = 대만군이 중국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