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남부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5-20 08:02

본문

베트남 남부 베트남 남부 띠엔장성 해안에 있는 SK이노베이션 E&S의 떤푸동 해상 풍력발전 단지의 모습. 105m 높이의 풍력 터빈들이 500m 간격으로 해상에 줄지어 있다. SK이노베이션 E&S 제공 베트남 호찌민시에서 남쪽으로 130km 거리인 띠엔장성 벤짜우 선착장. 여기서 배를 타고 30분을 이동하니 망망대해에 해상 105m 높이로 솟은 풍력터빈이 나타났다. 10m 높이의 사다리를 올라 풍력터빈을 위해 만든 작은 섬에 오르니 지름 150m에 달하는 거대한 풍력 발전기의 날개가 ‘휘힉’ 소리를 내며 빠르게 돌고 있었다. 이와 같은 흰색 풍력 터빈 36기가 축구장 25개 면적(25만 m2 규모)에 500m 간격으로 세워져 지평선을 빼곡히 채우고 있었다. 13일 찾아간 이곳은 SK이노베이션 E&S가 보유한 떤푸동 해상풍력 발전 단지다. SK E&S의 전 세계 재생에너지 사업장 중 최대 규모인 이곳은 지난해 기준 연간 443GWh(기가와트시)의 전기를 풍력 발전으로만 만들었다. 베트남에선 20만 가구가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규모다. 매출은 지난해 기준 연간 500억 원이 발생했다. SK이노베이션 E&S는 투자 지분에 따라 떤푸동 해상풍력 발전 단지에서 발생하는 순이익의 45%를 가져오고 있다.SK이노베이션 E&S는 베트남에서 재생에너지 사업에 공을 들이고 있다. 2022년 150MW(메가와트) 규모의 떤푸동 해상풍력 프로젝트, 2020년 닌투언 지역의 131MW 규모 태양광 설비 등에 투자했다. 1억 명의 내수 시장을 가진 데다 연간 7%씩 경제가 성장하는 베트남을 글로벌 재생에너지 사업의 전초 기지로 주목한 것이다.베트남은 국토가 위아래로 길어 해안선 길이가 3200km가 넘는다. 이 해안선을 따라 풍력발전을 운영하기에 유리하다. 여기에 겨울에는 북동 계절풍, 여름에는 남서 계절풍이 강하게 불어 계절과 상관없이 풍력 발전을 안정적으로 이어갈 수 있다. 태양광 발전 효율 역시 위도가 높은 한국과 비교해 10∼15%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베트남 정부는 이러한 환경 조건을 앞세워 전체 전력 생산량 중 재생에너지 비중을 2030년 최대 36%, 2050년 최대 75%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함께 떤푸동 해상풍력단지 현장을 찾은 권기혁 SK이노베이션 E&S 니쿠소르 단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시장. AP 연합뉴스 루마니아 대통령 선거 1차 투표에서 더블스코어로 뒤졌던 ‘친서방·친유럽’ 후보가 친트럼프를 앞세운 극우 민족주의 후보를 결선투표에서 따돌리고 극적인 역전승을 거뒀다.친유럽 성향의 니쿠소르 단(55) 부쿠레슈티 시장은 18일(현지시간) 열린 대선 결선투표에서 54.1%를 득표해 45.9%에 그친 극우 민족주의 성향의 제1야당 결속동맹(AUR) 대표 제오르제 시미온(38) 후보를 8.2% 포인트 차로 따돌렸다고 유로뉴스가 보도했다. 단 당선자는 부쿠레슈티 중심가에 있는 선거사무소 발코니에 나와 “선거는 정치인들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공동체를 위한 것”이라며 “루마니아 국민의 공동체가 선거에서 승리했다”고 선언했다.이번 대선은 지난해 11월 진행된 루마니아 대선 투표가 헌법재판소에 의해 무효화된 뒤 치러진 재선거였다. 당시 1위였던 극우 무소속 컬린 제오르제스쿠(62) 후보는 러시아 개입 의혹 때문에 헌재에서 출마 자격을 박탈당했다.단 당선자는 수학자 출신으로 부동산 불법 개발에 반대하는 시민운동으로 정치적 입지를 다졌다. 이번 대선에는 무소속으로 출마해 반부패, 투명성 강화, 디지털 개혁을 공약으로 내세웠다.선거에서 패배한 시미온 후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열렬한 지지자로 알려졌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구호인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를 본뜬 ‘루마니아를 다시 위대하게’(RAGA)를 선거 슬로건으로 내세웠다.단 당선자는 지난 4일 진행된 1차 투표에서 21%를 득표해 시미온 후보(41%)에게 2배 가까운 격차로 뒤처졌다. 하지만 지지층이 결집하고 유럽에서 반트럼프 여론이 들끓으며 극적인 반전 드라마를 썼다. 이번 대선 결선투표율은 64%로 2000년 이후 25년 만에 가장 높았다.유럽의 또 다른 이원집정부제 국가인 폴란드도 이날 치러진 대통령 선거 1차 투표에서 친서방·친유럽 성향 집권 여당 시민플랫폼(PO)의 라파우 트샤스코프스키(53) 후보가 31.36%, 민족주의 우파 야당 베트남 남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