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AFP=뉴스1) 이창규 기자 =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05-19 13:02본문
(뉴욕 AFP=뉴스1) 이창규 기자 = 멕시코 해군 훈련용 범선 '쿠아우테목호'가 1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브루클린 다리와 부딪쳐 돛대가 부러졌다. 2025.5.18.ⓒ AFP=뉴스1 볼보그룹코리아(옛 볼보건설기계코리아)는 세계적인 건설기계 제조업체 볼보건설기계그룹의 한국 법인이다. 볼보그룹코리아의 창원 공장은 굴착기 등 건설 장비를 연간 최대 1만7000여 대 생산할 수 있다. 전 세계 볼보 굴착기의 약 55%가 이곳에서 만들어지는 등 일 년 내내 바쁘게 돌아가는 창원 공장은 오전 7시부터 정규 근무가 시작된다. 출근 시간이 매우 이른 편이다. 퇴근은 오후 4시에 하지만, 잔업이 있는 날은 오후 6시로 늦어지기도 한다. 지난 7일 경남 창원시 성산구 볼보그룹코리아 창원 공장에서 회사가 생산한 건설 장비를 배경으로 직원들이 자녀들과 함께 활짝 웃고 있다. 직원들이 든 팻말에 회사 정책인 '다양성 & 포용성(Diversity & Inclusion)'영어 단어가 적혀 있다. 볼보그룹코리아는 직장 어린이집 운영과 자유로운 육아휴직 사용, 유연근무제 도입 등 여성과 가정에 포용적인 기업 문화를 실천하고 있다. /김동환 기자 하지만 영유아 자녀를 둔 창원 공장 직원들은 자녀의 등·하원 걱정을 전혀 하지 않는다. 창원 공장에서 차로 5분 거리에 있는 ‘볼보 바르미 어린이집’이 평일 오전 6시 30분부터 오후 6시 30분까지 문을 열기 때문이다. 또 어린이집에서 오전 8시마다 아이들의 아침 식사도 주고 있어, 직원들이 자녀의 아침 도시락을 챙겨야 하는 번거로움도 없다.창원 공장 구매 부문에서 근무하는 조영희(39)씨는 2022년 말 볼보그룹코리아로 이직했다. 재작년 3월부터 아들을 볼보 바르미 어린이집에 보내고 있다. 조씨는 아이가 일반 어린이집에 다니던 때는 ‘죄책감’을 자주 느꼈다. 일이 밀려 늦게 하원시키는 날에는 어린이집에서 “엄마가 늦으면 아이가 힘들어한다” 등의 말을 들어야 했다. 조씨는 “회사 어린이집 선생님들은 아이를 일찍 맡기거나 조금 늦게 데리러 가도 전혀 눈치 주지 않는 등 저를 학부모인 동시에 직장 동료로 존중해주는 게 느껴진다”며 “이제는 개인 커리어와 육아 모두 잘 해낼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겼다”고 말했다.2016년 3월 개원한 볼보 바르미 어린이집에는 현재 원아 25명이 다니고 있다. 모두 창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