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뉴시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6-25 19:38본문
[고성=뉴시스] 옥승욱 기자 = 지난해 10월 북한군이 동해선에 남북 연결도로를 폭파한 뒤 흙언덕을 쌓아놓은 모습. 2025.06.25. okdol99@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옥승욱 기자 = 6·25전쟁 75주년을 하루 앞둔 지난 24일 오후. 동부전선 최전방인 강원 고성 금강산전망대에 오르니 좌측으로는 복원된 북한 GP(감시초소), 우측으로는 동해선 남북연결도로 한가운데 쌓여진 흙언덕이 눈에 들어왔다.금강산전망대는 남방한계선으로부터 800m 가량 북측에 위치한 대한민국 최전방 전망대이다. 군사분계선(MDL)과의 거리도 1㎞가 채 되지 않는다. 717OP라고도 불리는 이 곳은 지난 5월 9일 3년 만에 일반인에 다시 개방됐다. 금강산전망대에 오르기까지는 많은 검문을 거쳐야 한다. 우선 통일전망대로 오는 기본 절차를 밟은 뒤 통일전망대에서 민간인에 허용되지 않은 통문이 열려야만 출입 가능하다. 차를 타고 그렇게 통문을 통과해 5분여 들어가니 다시 검문소가 나왔다. 금강산전망대로 가는 마지막 관문인 셈이다. 해당 검문소 옆에는 비상상황 발생시 전투가 가능하도록 탄약고가 자리하고 있었다. 검문소를 통과한 뒤 도로 밖으로 쳐져 있는 철조망에 지뢰라는 글이 눈에 들어왔다. 새삼 여기가 최전방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깨닫게 했다. 금강산전망대에 오르기 전 지난해 10월 북한이 폭파한 동해선 남북연결도로가 관측 가능하다는 얘기를 전해들었다. 남북관계에 있어 역사의 한장면으로 기록됐던 그 현장을 두 눈으로 직접 목격할 수 있다는 기대에 들떴다. 그렇게 금강산전망대에 올라 동해 바다가 펼쳐진 우측 1시 방향을 바라봤다. 눈 앞에는 실제로 북한이 남북 연결도로를 폭파한 뒤 쌓아놓은 흙언덕이 자리하고 있었다. 금강산을 육로로 이동할 수 있는 연결도로 한가운데 자리한 흙언덕은 지난 정부에서 남북 갈등이 얼마나 심했는지를 그대로 보여주는 상징물 같았다. 금강산전망대 11시 방향에는 북한 최전방 GP가 자리하고 있었다. 이 GP는 2018년 9·19 남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24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이룸센터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지명 소감을 말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신설될 기후에너지부 역할에 대해 새로운 에너지 활용 체계를 만드는 것이라고 밝혔다. 기후위기를 대처하기 위해 화석연료를 줄이고 재생에너지를 확대하는 과정에서 기업과 산업을 중심에 놓겠다는 구상이 읽힌다.김 후보자는 24일 서울 여의도 이룸센터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단 사무실로 출근하며 기자들과 만나 “화석연료 에너지원을 줄이고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한 전기를 모든 곳에서 사용해야 한다”며 “환경부와 기후에너지부의 역할은 한국 기업들이 더 이상 화석연료에 의지하지 않고 새로운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체계를 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발언은 환경부도 에너지 공급 체계 마련이란 새로운 과제를 맡을 가능성이 담겼다는 점에서 주목된다.김 후보자는 기후 현안에 대응하고 에너지 활용 방안이 담긴 입법들을 주도한 3선 의원이다. 이번 대선에서 선거대책위원회 정책본부 공동본부장을 맡아 이재명 대통령의 기후·에너지 분야 밑그림을 그렸다. 기후에너지부는 산업통상자원부에 있던 에너지 부문과 환경부의 기후 부문이 합쳐지는 형태가 될 것이란 전망이 많다. 김 후보자는 “가급적 빠른 시일 내 개편의 큰 방향을 잡을 것”이라고 말을 아꼈다.김 후보자는 환경 분야 중 재생에너지 확대를 현안으로 여기고 의정 활동을 해왔다. 김 후보자는 이날도 “현시점이 산업혁명 후 도래한 탄소 문명에서 탈탄소 문명 시대로 전환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라며 “재생에너지 기반의 새로운 문명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김 후보자는 탈원전에 대해 “바로 할 일이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김 후보자는 “재생에너지를 확대하는 과정에서 원전을 일종의 보조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면서 탈탄소 정책 속도를 붙이는 게 에너지 정책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올해 정해야 할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와 관련해 “3년간 재생에너지 비중이 사실상 후퇴했다, 얼마나 빨리 만회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양종곤 고용노동전문기자 ggm11@sedaily.c
- 이전글펀치게임 ⓞ 캐톡 텔레 :TST365 ⓞ akgame바둑이 와일드holdemgame 25.06.25
- 다음글임플란트 수술 전후 철저한 위생 관리로 감염 위험을 최소화합니다. 25.06.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