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링크프로그램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유니2 댓글 0건 조회 8회 작성일 25-03-29 02:34

본문

백링크프로그램 한밤중에도 진화작업 27일 밤 경북 영덕군 강무면 삿갓봉에서 산불전문예방진화대원들이 진화 작업을 마쳤다. 대원들이 철수를 하기 위해 소방 호스를 잡아당기는 ‘줄작업’을 하고 있다. 영덕=천종현 기자 punch@donga.com 21일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역대 최악의 산불이 발화 8일째 만에 주불 진화에 성공했다. 시간당 8.2km라는 역대 가장 빠른 속도로 경북 지역 곳곳으로 번진 산불을 막을 수 있었던 데는 목숨을 걸고 사투를 벌인 산불전문예방진화대원들의 헌신이 있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마을 주민 등으로 구성된 진화대원들이 잔불 정리용 갈퀴와 등짐펌프를 메고 산불 현장 최전선에서 매일 10시간 넘게 화마(火魔)와 싸우지 않았다면 산불이 더 확산됐을 거란 분석이 나온다. 주민들이 자체적으로 만든 마을순찰대와 소방관, 공무원들도 진화 작업에 큰 힘을 보탰다. ● 드디어 꺼진 산불… 매일 사투 벌인 진화대원들“이 지옥 같은 산불이 끝났다니, 꿈만 같네요.” 28일 주불이 진화됐다는 소식을 들은 경북 영덕군 소속 진화대원 한태영 씨(55)가 환하게 웃으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산불이 영덕으로 처음 넘어온 날(25일) 불덩이가 날아다니는 상황에서 진화에 투입됐다. 한 씨는 “열악한 환경에서 고생한 우리 동료들 덕분에 무사히 끝난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진화대원은 “산불로 집을 잃은 동료들이 대부분”이라며 “우리 고향의 나무 한 그루라도 더 지키자는 생각으로 현장에 달려갔다”고 했다. 산불 대응 인력은 산림청 소속인 산불재난특수진화대와 공중진화대, 그리고 산림청과 지방자치단체가 함께 관할하는 산불전문예방진화대가 있다. 해당 지역 민간인들로 구성되는 예방진화대원들은 산불 대응 인력 중 규모가 가장 크다. 산불을 가장 먼저 접하고 가장 먼저 초기 대응에 나선다. 이들은 이번 산불에서 등짐펌프, 방화용 장갑, 안전모 및 안전화, 방역마스크 등 열악한 장비에만 의지한 채 매일 투입됐다.27일 오후 6시 반경 동아일보 기자는 진화대원들과 함께 경북 영덕군 삿갓봉 산불 진화 현장으로 이동했다. 산 꼭대기에서 산불 진화 작업을 마친 후 소방호스를 산 아래로 이동시키기

백링크프로그램 백링크프로그램

백링크프로그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