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사이트트래픽
초비상 걸린 한국경제 삼성·LG 올인한 베트남 46% 폭탄스마트폰·가전 생산지 타격 클 듯상호관세 피한 효자품목 車·반도체보조금 재협상 등 남아있어 긴장감“민관 원팀돼 촘촘한 대미 협상을”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대(對)한국 상호관세 26% 부과 폭탄이 2일(현지시간) 터지면서 산업계가 비상상황에 돌입했다. 저성장·중국 공세·리더십 공백에 미국의 막무가내식 통상압박이 더해지면서 수출로 먹고사는 한국 경제가 사면초가에 빠질 공산이 크다는 우려가 나온다. 우리 기업의 해외 주력 생산기지인 베트남 등에도 고율 관세가 부과돼 수출 우회로도 막혔다. 대미 주력 수출품인 자동차·반도체는 상호관세를 피했지만 품목별 관세가 기다리고 있다. 통상 전문가들은 본경기는 이제부터라고 말한다. 한국이 수출 경쟁국들과 엇비슷한 관세율을 받아든 만큼 ‘민관 원팀’으로 트럼프가 펼친 협상장에 들어가야 한다고 3일 강조했다. 3일 인천 연수구 인천신항컨테이너터미널에서 수출입 선적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뉴시스 ◆수출 전진기지 베트남도 막혀… 기업 고심 트럼프가 각국에 고율 관세를 매기면서 기업들은 품목별·생산지별로 최종 관세를 따져야 하는 복잡한 과제를 안게 됐다. 특히 세계 곳곳에 생산지를 둔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셈법이 난해해졌다. 대미 가전 전초기지인 멕시코가 상호관세 대상에서 빠진 데 대해선 한숨을 돌렸지만 다른 주력 생산기지인 베트남(46%), 중국(34%)에 더 높은 관세율이 매겨지면서 고민이 커졌다. 삼성전자는 베트남에서 전 세계 스마트폰 생산량의 절반을 생산 중이고, LG전자는 중국에서 세탁기, 냉장고 등 8곳의 생산기지를 운영하고 있다. 양사 모두 베트남, 중국 공장에서 만든 제품을 미국으로 수출하는 비율을 공개하진 않지만 상당한 타격이 있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악의 상황은 아닌 게 그나마 다행이다. 허윤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미국산 제품들과 경쟁하기에는 불리해졌지만 대미 수출국들과 비교하면 26% 관세율은 크게 불리하지 않다”며 “한국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해 굉장히 낮은 관세를 받아왔기에 상호관세 26%가 더해져도 경쟁국보다 나쁘지 않다”고 설명했다. ◆차·반도체 상호관세 피했지만 ‘산 넘어 산’ 이번 상호관세에서 반도체·자동차는 제외됐지만 글로벌 메모리 양대산맥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여전히 긴장 상태다. 품목별 개별 관세와 보조금 재협상이 남아 있어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전임 조 초비상 걸린 한국경제 삼성·LG 올인한 베트남 46% 폭탄스마트폰·가전 생산지 타격 클 듯상호관세 피한 효자품목 車·반도체보조금 재협상 등 남아있어 긴장감“민관 원팀돼 촘촘한 대미 협상을”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대(對)한국 상호관세 26% 부과 폭탄이 2일(현지시간) 터지면서 산업계가 비상상황에 돌입했다. 저성장·중국 공세·리더십 공백에 미국의 막무가내식 통상압박이 더해지면서 수출로 먹고사는 한국 경제가 사면초가에 빠질 공산이 크다는 우려가 나온다. 우리 기업의 해외 주력 생산기지인 베트남 등에도 고율 관세가 부과돼 수출 우회로도 막혔다. 대미 주력 수출품인 자동차·반도체는 상호관세를 피했지만 품목별 관세가 기다리고 있다. 통상 전문가들은 본경기는 이제부터라고 말한다. 한국이 수출 경쟁국들과 엇비슷한 관세율을 받아든 만큼 ‘민관 원팀’으로 트럼프가 펼친 협상장에 들어가야 한다고 3일 강조했다. 3일 인천 연수구 인천신항컨테이너터미널에서 수출입 선적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뉴시스 ◆수출 전진기지 베트남도 막혀… 기업 고심 트럼프가 각국에 고율 관세를 매기면서 기업들은 품목별·생산지별로 최종 관세를 따져야 하는 복잡한 과제를 안게 됐다. 특히 세계 곳곳에 생산지를 둔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셈법이 난해해졌다. 대미 가전 전초기지인 멕시코가 상호관세 대상에서 빠진 데 대해선 한숨을 돌렸지만 다른 주력 생산기지인 베트남(46%), 중국(34%)에 더 높은 관세율이 매겨지면서 고민이 커졌다. 삼성전자는 베트남에서 전 세계 스마트폰 생산량의 절반을 생산 중이고, LG전자는 중국에서 세탁기, 냉장고 등 8곳의 생산기지를 운영하고 있다. 양사 모두 베트남, 중국 공장에서 만든 제품을 미국으로 수출하는 비율을 공개하진 않지만 상당한 타격이 있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악의 상황은 아닌 게 그나마 다행이다. 허윤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미국산 제품들과 경쟁하기에는 불리해졌지만 대미 수출국들과 비교하면 26% 관세율은 크게 불리하지 않다”며 “한국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해 굉장히 낮은 관세를 받아왔기에 상호관세 26%가 더해져도 경쟁국보다 나쁘지 않
웹사이트트래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