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무청이 지난 2023년 8월 발표한 ‘나라사랑 가게’ 사업 추진 방식. 사업 시작 이후 전국 1200여 개 업체가 동참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 제공=병무청 [서울경제] 병역의무 이행 담당기관인 병무청은 지난 2023년 8월부터 병역이행자들을 위해 음식점, 숙박업소, 카페, 헬스장, 이·미용실, 개인병원 등에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나라사랑 가게’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3월말 기준으로 전국에 1700여 개 업체가 참여하고 있다.그러나 전역군인 혜택은 거의 없고 ‘생색내기용’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상당수 업소가 안경점·소규모 병원 등 특정 업종에 치중돼 있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실제 군 관련 커뮤니티에는 “병역의무 때문에 군 복무를 하지만 현역병 신분이 아니면 사실상 혜택이 주어지는 것이 전혀 없다”, “현역병을 대상을 제공하는 업체들의 할인 혜택도 호구 취급하듯 복무할 때만 주어지지 전역하면 나몰라라 얄팍한 장사속 뿐이다”, “정치권은 표를 의식해 현역군인 월급 올리겠다는 정책만 내놓을 뿐 전역군인 예우는 전혀 챙기지 않는다”, “병역이행의 헌신과 희생에 대한 사회적 존중과 예우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다양한 혜택이 법적으로 보장될 필요가 있다” 등의 불만이 쏟아졌다.병무청 홈페이지에서 국방부가 속해 있는 서울 용산구 지역 내 동참 업체를 실제 조회한 결과 7개 업체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참 업체도 6개 업체가 안경점이고, 나머지 1개는 영세 음식점이었다.할인 대상도 동원훈련 이수자나 모범예비군, 현역병, 병역명문가 등으로 국한했다. 게다가 동원훈련이수, 모범예비군, 복무확인서, 병역명문가증을 반드시 제시해야 한다. 혜택은 서비스 이용료의 10%~30%를 할인해 준다. 사진 제공=국가보훈부 제대군인 정책을 담당하는 국가보훈부도 사정은 마찬가지다.NH농협카드와 KB국민카드, IBK기업은행 등 함께 전역 후 3년 이내의 제대군인 혹은 만 34세 이하 제대군인을 대상으로 ‘히어로즈 카드’를 발급한다. 학원·서점·어학시험· 서울 구로구 넷마블 지타워 사옥에 문을 연 넷마블게임박물관 입구 모습. 블리자드의 게임 ‘워크래프트’ 속 캐릭터인 ‘아서스’의 대형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다. [사진 = 넷마블] 한 시대를 풍미했던 아타리의 게임기부터 초기 플레이스테이션 시리즈, 닌텐도의 휴대용 게임기인 게임보이, 추억 속의 다마고치까지. 게임 팩과 CD의 추억을 가진 어른들부터 모바일 게임을 하는 어린이들까지 모두 즐길 수 있는 넷마블게임박물관이 지난 3월 문을 열었다.서울시 구로구에 있는 네이버 지타워 사옥 3층에 자리를 잡은 넷마블게임박물관은 약 297평 규모로 게임 기기와 소프트웨어, 주변 기기를 포함해 총 2100여점의 소장품을 갖췄다.눈으로 보는 것 외에도 게임과 관련된 진로를 탐색해볼 수 있는 키오스크, 게임 속 배경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공간과 수십 대의 오락실 기기가 비치된 체험 공간 등 게임의 다양한 가치를 향유할 수 있는 콘텐츠가 마련됐다.넷마블은 게임사 중 최초로 게임 전문 박물관을 연 배경에 대해 “게임문화유산을 보존, 연구, 전시하여 게임의 문화적 가치를 공유하고자 설립했다”며 “어린이에서부터 어른까지 다양한 연령과 배경의 관객이 박물관을 즐기기를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최근 넷마블게임박물관을 다녀왔다.‘신검의전설’ 등 한국 PC 게임의 역사부터플레이스테이션·세가·닌텐도 등 추억이 즐비 1990년대 한국에서 사용됐던 금성 패미콤 FC-80, 애플2 등의 컴퓨터 기기와 국내 역할수행게임(RPG)의 시초격인 ‘신검의전설2’ 등이 전시되어 있는 모습 [사진 = 정호준 기자] 넷마블게임박물관에는 1950년대 개발됐던 세계 최초의 비디오 게임부터, 1020 세대가 즐기는 2000년 이후의 게임까지 누구나 추억 속에 젖을 수 있는 전시가 펼쳐졌다. 1958년 개발된 테니스 게임이자 세계 최초의 비디오 게임으로 불리는 ‘테니스 포 투’, 한국의 PC 역할수행게임(RPG) 시작을 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