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트럼프 1기서도 스마트폰 전자제품 제외”AP/뉴시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상호관세 대상에서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을 제외하는 지침을 발표했다. 앞서 중국에 대한 관세율을 상호관세 125%에 중국산 펜타닐(좀비 마약) 원료를 문제 삼아 기존에 부과한 20%를 합쳐 총 145%까지 부과하는 등 ‘관세 융단 폭격’에 나섰지만 일단 숨고르기를 한 것. 스마트폰, 노트북 등은 가계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미국 소비자들에게 특히 민감한 품목인 만큼, 이를 고려해 일단 광범위한 관세 조치에선 면제해준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애초 관세 부과에 예외는 없을 것이라고 주장하던 트럼프 대통령이 스스로 원칙에 예외를 두면서 정책에 대한 신뢰성에 흠집을 낼 거란 관측도 나온다.● 애플 등 美기업 물론 삼성전자 등도 한숨 돌려미국 관세국경보호국(CBP)미 관세국경보호청(CBP)이 11일(현지 시간) 밤 공지한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에 따르면 스마트폰과 노트북 컴퓨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칩, 반도체 제조 장비 등은 상호관세 부과에서 제외된다. 10일 오전 0시 1분부터 중국산(産) 제품에 부과한 125% 상호관세 적용 대상에서 면제된다는 것. 상호관세와 별개로 중국에 대해 이른바 펜타닐을 문제 삼아 부과한 20%의 관세까지 면제될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다. CNBC는 이번 관세 유예는 일시적일 수 있다면서 곧 다른 유형의 관세가 적용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다만 그렇더라도 현재 중국산 제품에 부과 중인 총 145%의 관세보단 훨씬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이번 조치로 중국에 생산 기지를 두고 있는 애플과 델 등 미국 기업들은 자사의 비즈니스를 뒤흔들고 소비자 가격을 크게 높일 위기에 놓였던 관세 부담에서 일정 부분 벗어나게 되었다고 뉴욕타임스(NYT)는 평가했다. 삼성전자 역시 트럼프발 ‘관세 공포’에서 일단 한숨 돌릴 수 있게 됐다. 블룸버그통신은 삼성전자, TSMC 등 역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번 면제는 미국 시장에 대해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애플 등 미 기업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인 것으로 보인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관세를 유예하는 대신, 오히려 145%까지 관세율을 인상하자 많은 기술 기업들의 주가는 폭락했다. 특히 아이폰의 약 80%가량을 중국에서 생산하는 애플의 경우 4일 만에 시가총액이 무려 7730억 달러(약 1100조 원) 증발하기도 했다. 앞서 미국의 정보기술(IT) 전문매체 씨넷은 상호관NYT “트럼프 1기서도 스마트폰 전자제품 제외”AP/뉴시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상호관세 대상에서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을 제외하는 지침을 발표했다. 앞서 중국에 대한 관세율을 상호관세 125%에 중국산 펜타닐(좀비 마약) 원료를 문제 삼아 기존에 부과한 20%를 합쳐 총 145%까지 부과하는 등 ‘관세 융단 폭격’에 나섰지만 일단 숨고르기를 한 것. 스마트폰, 노트북 등은 가계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미국 소비자들에게 특히 민감한 품목인 만큼, 이를 고려해 일단 광범위한 관세 조치에선 면제해준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애초 관세 부과에 예외는 없을 것이라고 주장하던 트럼프 대통령이 스스로 원칙에 예외를 두면서 정책에 대한 신뢰성에 흠집을 낼 거란 관측도 나온다.● 애플 등 美기업 물론 삼성전자 등도 한숨 돌려미국 관세국경보호국(CBP)미 관세국경보호청(CBP)이 11일(현지 시간) 밤 공지한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에 따르면 스마트폰과 노트북 컴퓨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칩, 반도체 제조 장비 등은 상호관세 부과에서 제외된다. 10일 오전 0시 1분부터 중국산(産) 제품에 부과한 125% 상호관세 적용 대상에서 면제된다는 것. 상호관세와 별개로 중국에 대해 이른바 펜타닐을 문제 삼아 부과한 20%의 관세까지 면제될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다. CNBC는 이번 관세 유예는 일시적일 수 있다면서 곧 다른 유형의 관세가 적용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다만 그렇더라도 현재 중국산 제품에 부과 중인 총 145%의 관세보단 훨씬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이번 조치로 중국에 생산 기지를 두고 있는 애플과 델 등 미국 기업들은 자사의 비즈니스를 뒤흔들고 소비자 가격을 크게 높일 위기에 놓였던 관세 부담에서 일정 부분 벗어나게 되었다고 뉴욕타임스(NYT)는 평가했다. 삼성전자 역시 트럼프발 ‘관세 공포’에서 일단 한숨 돌릴 수 있게 됐다. 블룸버그통신은 삼성전자, TSMC 등 역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번 면제는 미국 시장에 대해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애플 등 미 기업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인 것으로 보인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관세를 유예하는 대신, 오히려 145%까지 관세율을 인상하자 많은 기술 기업들의 주가는 폭락했다. 특히 아이폰의 약 80%가량을 중국에서 생산하는 애플의 경우 4일 만에 시가총액이 무려 7730억 달러(약 1100조 원) 증발하기도 했다. 앞서 미국의 정보기술(IT) 전문매체 씨넷은 상호관세 부과에 따라 미국 내 아이폰 가격이 2배 넘는 수준으로 뛸 것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