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MSCI 신흥국지수에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4-22 18:47본문
<앵커>MSCI 신흥국지수에서 국내 기업들의 영향력이 해를 거듭할수록 줄고 있습니다. 한때 지수 내 1위를 기록하기도 했지만, 현재 중국은 물론, 인도와 대만 등에도 밀리는 상황입니다. 증권부 김원규 기자 나왔습니다. 김 기자, 우선 간략하게 MSCI 지수부터 짚어볼까요?<기자>MSCI 지수는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사가 발표하는 세계주가지수입니다. 대표적으로 선진국과 신흥국으로 나눠지는데,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 등이 신흥국 지수에 포함돼 있습니다. 지난 1992년 처음 MSCI 신흥국지수에 편입된 우리나라는 당시 비중 크지 않았지만 이후 꾸준히 오르며 2004년에는 그 비중이 17.70% 를 찍었습니다. 당시 지수 내 1위였습니다. 하지만 거기까지였습니다. 2007년부터 중국에 밀려 2위가 된 이후 줄곧 내리막을 걷다 지난해 말에는 9.7%, 올 3월 8.99%까지 비중이 감소했습니다. 반면, 주변 국가들은 전혀 다른 양상입니다. 2007년 우리나라를 제친 후 부동의 1위를 유지해온 중국은 올 3월 31.29%로 20년새 비중이 4배 이상 커졌습니다. 인도는 5.70%에서 18.52%, 대만 역시 14.00%에서 16.85%로 상승해 우리와 격차를 벌렸습니다.<앵커>그 배경에는 국내 상장사의 성장세가 타 국가 대비 저조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겠죠?<기자>MSCI 지수에 포함되려면 외국인 자금 유입과 자금의 유동성, 특히 상장사들의 시가총액이 필수 요소입니다. 그간 국내 상장사들의 몸값이 떨어지면서 MSCI 신흥국 지수에서 편출되는, 그러니까 이탈되는 종목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지난 2월 MSCI 정기변경이 진행된 바 있는데, 이때 삼성E&A, 엘앤에프, GS, 한미약품 등 대형주 11개사가 한꺼번에 제외되며 한국 비중이 0.16%포인트 감소했습니다. 문제는 향후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한국시간으로 다음달 14일 예정된 MSCI 5월 정기 리뷰에서 편입보다 편출 종목이 더 많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증권가에선 최대 6개 종목이 더 편출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앵커>금융당국이 상장사들의 가치 제고를 위해 지난해 1월부터 밸류업 정책에 속도를 냈잖아요. 이후 1년이 넘었는데, 사실상 성과가 미미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기자>배당 확대, 자사주 소각, 지배구조 개편 등이 밸류업의<앵커>MSCI 신흥국지수에서 국내 기업들의 영향력이 해를 거듭할수록 줄고 있습니다. 한때 지수 내 1위를 기록하기도 했지만, 현재 중국은 물론, 인도와 대만 등에도 밀리는 상황입니다. 증권부 김원규 기자 나왔습니다. 김 기자, 우선 간략하게 MSCI 지수부터 짚어볼까요?<기자>MSCI 지수는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사가 발표하는 세계주가지수입니다. 대표적으로 선진국과 신흥국으로 나눠지는데,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 등이 신흥국 지수에 포함돼 있습니다. 지난 1992년 처음 MSCI 신흥국지수에 편입된 우리나라는 당시 비중 크지 않았지만 이후 꾸준히 오르며 2004년에는 그 비중이 17.70% 를 찍었습니다. 당시 지수 내 1위였습니다. 하지만 거기까지였습니다. 2007년부터 중국에 밀려 2위가 된 이후 줄곧 내리막을 걷다 지난해 말에는 9.7%, 올 3월 8.99%까지 비중이 감소했습니다. 반면, 주변 국가들은 전혀 다른 양상입니다. 2007년 우리나라를 제친 후 부동의 1위를 유지해온 중국은 올 3월 31.29%로 20년새 비중이 4배 이상 커졌습니다. 인도는 5.70%에서 18.52%, 대만 역시 14.00%에서 16.85%로 상승해 우리와 격차를 벌렸습니다.<앵커>그 배경에는 국내 상장사의 성장세가 타 국가 대비 저조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겠죠?<기자>MSCI 지수에 포함되려면 외국인 자금 유입과 자금의 유동성, 특히 상장사들의 시가총액이 필수 요소입니다. 그간 국내 상장사들의 몸값이 떨어지면서 MSCI 신흥국 지수에서 편출되는, 그러니까 이탈되는 종목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지난 2월 MSCI 정기변경이 진행된 바 있는데, 이때 삼성E&A, 엘앤에프, GS, 한미약품 등 대형주 11개사가 한꺼번에 제외되며 한국 비중이 0.16%포인트 감소했습니다. 문제는 향후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한국시간으로 다음달 14일 예정된 MSCI 5월 정기 리뷰에서 편입보다 편출 종목이 더 많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증권가에선 최대 6개 종목이 더 편출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앵커>금융당국이 상장사들의 가치 제고를 위해 지난해 1월부터 밸류업 정책에 속도를 냈잖아요. 이후 1년이 넘었는데, 사실상 성과가 미미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기자>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