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방첩사령부 입구에 설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5회 작성일 25-04-25 12:51

본문

국군방첩사령부 입구에 설 국군방첩사령부 입구에 설치된 조형물. 방첩사 제공 12·3 내란사태에 앞장선 국군방첩사령부(방첩사)와 정보사령부는 어떻게 다른 부대일까. 대개 아래처럼 설명한다.‘정보사는 국외에서 대북 공작·정보수집을 하고, 방첩사는 국내에서 북한의 간첩 활동을 막는다. 비유하면 정보사는 공격을 하는 창이고, 방첩사는 방어를 맡은 방패다.’(한겨레 ‘오늘의 스페셜’ 연재 구독하기)이런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지만, 정확하진 않다. 방첩사의 본연의 임무가 방첩이라고만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방첩사 누리집 첫 화면에는 ‘최정예 군 보안, 방첩부대’라는 소개 문구가 뜬다. 방첩사가 1970~80년대 국군보안사령부(보안사)였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방첩사의 주된 업무를 방첩과 보안으로 여긴다. 방첩사 누리집에서도 업무를 △군사보안 △신원보안 △방산보안 △보안감사 △대테러 △경호경비 △방첩정보 △방첩수사 △과학수사 등으로 소개하고 있다.그런데 방첩사엔 방첩·보안 말고도 대전복(對顚覆) 임무란 아주 중요한 업무가 있다. ‘뒤집어엎다’는 ‘전복’은 쿠데타를 말한다. 즉, 대전복 임무는 쿠데타를 막는 것이다. 군 내부에서는 방첩사를 ‘쿠데타 방지 부대’라고 인식한다. 방첩사의 진짜 이름은 ‘쿠데타방지사령부’(쿠방사)라는 것이다. 하지만 1979년 12·12 군사반란, 지난해 12·3 내란사태 때는 쿠데타에 앞장선 ‘쿠데타사령부’ 였다.방첩사는 이승만 정부 때부터 군 내부 반발세력을 감시하며 국내 정치에 개입하는 대통령 친위부대 구실을 했다. 방첩사는 본격적인 쿠데타 방지 부대가 된 건 1960년대부터다. 박정희 전 대통령이 1961년 5·16 쿠데타로 집권했기 때문에, 자기같은 군인이 다시 쿠데타를 하는 것을 막기 위해 군을 철저하게 감시했다. 12·12 군사반란을 일으킨 전두환과 노태우도 쿠데타를 걱정해 방첩사를 활용해 군을 감시하고 통제했다. 국군방첩사령부 누리집 첫 화면에는 ‘최정예 군 보안, 방첩부대’라는 소개 문구가 뜬다. 방첩사 누리집 갈무리 군 내부에서 방첩사의 영향력은 막강하다. 군인들은 계급이 높아질수록 진급과 보직 때문에 방첩사의 눈치를 심하게 본다. 현재 대령급 이상이 지휘하는 부대에는 방첩사가 상주하고 있다. 대령급 부대는 방첩사 대위 또는 준위, 소장급 부대는 중령, [서울=뉴시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4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D.C. 주미대사관에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함께 한-미 2+2 통상협의(Trade Consultation) 관련 합동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2025.04.25.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워싱턴·세종=뉴시스] 안호균 임소현 박광온 기자 = 한국과 미국이 24일(현지시간) 처음으로 열린 고위급 통상 협의에서 각자의 입장을 전달하고 상대측의 관심사를 파악하는 일종의 탐색전을 벌였다.한국은 상호관세와 품목별 관세 면제를 요청했다. 미국은 관세 문제 뿐 아니라 안보, 환율, 액화천연가스(LNG) 투자 등 다양한 분야 의제를 하나로 묶어 합의하는 이른바 '패키지 딜(Package Deal)' 방식의 해결을 제안한 것으로 보인다.이날 우리 측이 미국에 제안한 '7월 패키지(July Package)'는 이런 양측의 입장을 절충한 해결 방식에 가깝다.미국이 원하는 여러 의제에 대해 논의를 시작하되, 6월 들어서는 한국의 차기 정부가 최종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시간을 벌겠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보인다.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한미 2+2 통상 협의(Trade Consultation) 종료 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상호관세 유예가 종료되는 7월 8일 이전까지 관세 폐지를 목적으로 한 '7월 패키지(July Package)'를 마련할 것(을 제안했다)"고 밝혔다.최상목 부총리는 또 "양측의 관심사인 ▲관세·비관세조치 ▲경제안보 ▲투자협력 ▲통화(환율)정책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논의해 나가는데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정부 설명에 따르면 '7월 패키지'는 오는 7월 8일까지 통상 협상의 범위나 틀을 마련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 때까지 최종적인 결정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대화를 이어가면서 '무엇을 합의할 지'를 정하자는 것이다. 최상목 부총리는 이날 협의에서 7월 국군방첩사령부 입구에 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