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리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나라
“총리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나라의 운명이 바뀝니다.”(이재명 대통령) “‘새벽 총리’가 되어 국정 운영의 체감 속도를 더 높이겠습니다.”(김민석 국무총리)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청사에서 김민석 국무총리에게 임명장을 수여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임명장 수여식 직후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와 나눈 대화다. 이 대통령은 이날 김 총리에게 임명장을 주며 “잘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김 총리가 고개를 숙이자, 이 대통령은 “고개 너무 많이 숙이지 말고, 내가 이상해 보인다”라며 웃었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4일 임명한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에게도 한 달 뒤인 이날에야 임명장을 수여했다. 여권 관계자는 “그만큼 이 대통령이 김 총리의 역할을 강조하는 것 아니겠냐”고 말했다. 김 총리는 이날 첫 일정으로 대통령실 맞은편에서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유임 반대 농성을 진행해 온 농민 단체들과 만났다. 김 총리는 “새 정부의 농업 정책은 우리가 함께 논의해 왔던 과정과 (양곡관리법 등) ‘농업 4법’을 함께 만들었던 연장선에 있다”며 “(농업 관련 입법을) 기술적으로 조정할지는 몰라도 큰 방향에서 훼손이라든가 역진은 있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농림부 장관을 새로 선임해 달라’는 요구에 김 총리는 즉답을 피한 채 “새 정부에선 지난 정부의 장관을 한 분 정도는 유임하는 것이 전체 국민통합이라는 흐름을 봐서 의미가 있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 총리는 이어 농민 단체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별도의 대화 자리를 업무 파악이 끝나는 대로 잡기로 약속했다. (서울=뉴스1) 김명섭 기자 = 김민석 국무총리가 취임 후 첫 일정으로 4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유임 결정 철회를 촉구하며 항의 농성 중인 농민단체와 면담을 하고 있다. 뉴스1 농민단체와 면담을 마친 김 총리는 현충원 참배를 마친 뒤 국회로뜻밖이었다. 산새소리와 풍경소리가 그윽하게 들려올 줄 알았다. 하지만 경내로 들어서자 여러 소음들이 기이했다. 먼저 한쪽으로는 등산객들이 몸을 풀며 내는 기합소리가 들려온다. 또 반대쪽은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인근 중학교 학생들의 사생대회가 있었다. 그래도 어린 학생들의 고주파수 웃음소리는 전혀 거슬리지 않았다. 문제는 자동차가 절 턱 밑까지, 아니 절 안에까지 들어온다. 길을 따라 올라가다보면 바로 옆에 옷깃을 스칠 만큼 가까이 차가 지나다닌다. 한 곳만 그런 것도 아니다. 이런 식으로 조성된 주차장이 2~3곳 더 있다.양산 통도사나 설악산 신흥사처럼 거리가 좀 떨어진 절 앞 넓은 부지에 큰 규모의 주차장이 있는 형태가 아니다. 왜 그런 걸까? 또 이런 상황에서 왜 범어사는 환경규제가 강해질 확률이 높은 국립공원 승격을 찬성하는 입장으로 돌아선 걸까? 국립공원되면 오히려 규제가 완화된다?사연을 들어보기 위해 범어사 주지 정오 스님을 만났다. 정오 스님은 벽파 스님을 은사로 출가해 1990년도 수계했다. 가야사, 장안사, 고불사 주지를 지냈으며 제15~16대 중앙종회의원과 종립학교관리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본론부터 꺼냈다. 왜 범어사가 국립공원 지정에 찬성했느냐고. 금정산 내 사유지 비율이 80%인데 그중 단일로는 가장 큰 8%가 범어사 땅이라 이들의 입장이 늘 열쇠였다. "인식의 변화가 있었습니다. 국립공원공단과 대화하면서 몰랐던 부분을 알게 됐거든요." 범어사 일주문. 선찰대본산이라고 써 있는 것이 남다른 점이다. 한국불교에 선을 일으킨 곳이 범어사기 때문이다. 금정산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하려는 운동은 이미 10여 년 이상의 역사를 갖고 있다. 범어사는 이에 미지근한 태도였다. 애초에 범어사 일대는 그린벨트에다가 공원녹지구역, 상수원보호구역 등으로 규제가 굉장히 많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항간에는 "범어사 마당의 풀도 국가의 동의를 얻어야 뽑을 수 있다"는 농담이 돌았다. 이런 판국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기까지 하면 여러 사찰의 현안들을 해결하기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생각할
“총리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