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1기 때인 2017년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6회 작성일 25-05-18 21:44

본문

트럼프 1기 때인 2017년 트럼프 1기 때인 2017년 트럼프와 악수하는 제임스 코미. EPA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암살을 암시하는 듯한 사진을 소셜미디어에 올렸던 제임스 코미 전 FBI 국장이 결국 비밀경호국의 조사를 받았다. 코미 전 FBI국장은 16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 있는 비밀경호국(SS)에 출석했다.외신에 따르면 비밀경호국은 실제 트럼프 대통령을 위협할 의도가 있었는지를 포함해 게시물을 올린 목적 등을 조사했다. 트럼프 집권 1기 때 트럼프 대통령과 각을 세우다 FBI 수장직에서 해임된 코미 전 국장은 최근 인스타그램에 조개껍데기들이 '86 47'이라는 모양으로 놓인 사진을 올리고 "해변 산책로에서 본 멋진 조개 배치"라는 글을 남겨 논란을 일으켰다. 미국에서 숫자 '86'은 속어로 쓰일 때 '내쫓다' '제거하다'는 의미로 통용되는데, 일부에서는 그것을 '죽이다'라는 의미를 담아 쓰기도 한다는 점에서 코미가 올린 사진은 '47대 미국 대통령인 트럼프를 죽이자'는 의미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코미 전 국장은 이 게시물이 논란을 일으키자 삭제한 후 "나는 그것이 정치적 메시지라고 여겼다. 나는 어떤 사람들이 이 숫자들을 폭력과 연관시킨다는 점을 깨닫지 못했다. 나는 그런 생각은 해 본 적이 없지만 일체의 폭력에 반대하기 때문에 게시물을 내렸다"고 해명했다.트럼프 대통령을 자리에서 쫓아내거나 그에게 반대하는 데 대한 지지의 뜻을 담아 사진을 올린 것일 뿐이며, '86'이라는 숫자가 살인의 의미로도 사용된다는 것은 몰랐다는 취지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코미 전 연방수사국(FBI) 국장을 "더러운 경찰"로 칭하며 맹비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방영된 미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코미 전 국장이 암살 선동의 의미가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문제의 사진을 올렸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끔찍한 일" "더러운 경찰" 등의 표현을 쓰며 코미 전 국장을 비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어린이도 그 사진이 의미하는 바를 안다"며 "그가 그런 일을 한 것에는 이유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이 셰이크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카타르 국왕의 초청으로 카타르를 방문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악수를 하고 있다. 〈ABC 유튜브 캡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모든 나라와의 협상은 불가능하다”며 2~3주 내 상호관세를 통보하겠다고 밝혔다. 나라별로 상이한 상호관세에 대해 90일간 유예를 두고 협상을 시작했지만, 협상이 지지부진하거나 진전이 없을 경우 일방적으로 관세율을 통보하겠다는 뜻이다.트럼프 대통령은 어느 시점이 되면 상대국과의 협상을 중단하고 자신이 생각하는 관세를 일방적으로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밝혀왔다.트럼프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향후 2~3주 이내에 (각국에) 스콧(베선트 재무부 장관)과 하워드(러트닉 상무부 장관)가 미국에서 사업을 하기 위해 그들이 내야 하는 것을 알려주는 서한을 보낼 것”이라고 밝혔다.그는 아랍에미리트(UAE)에서 진행된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서 “150개 국가가 협상하고 싶지만 그렇게 많은 국가를 보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우리는 매우 공정할 것이지만, 우리를 만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을 감당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고 했다.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초 10% 이상의 상호관세를 모든 나라에 부과키로 발표한 뒤 이른바 '최악 침해국'에 대한 국가별 관세는 90일간 유예한 바 있다. 이후 영국과는 협상을 타결했으며 우리나라와 일본, 인도 등과는 협상을 진행 중이다.이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나라가 관세 문제와 관련해 협상을 타결하고 싶어 한다고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날 방영된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모두가 우리와 합의하고 싶어 한다”면서 “한국은 우리와 합의하고 싶어 한다. 하지만 난 모두와 합의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난 그냥 제한을 둘 것이다. 난 합의를 좀 더 성사하겠지만, 그렇게 많은 사람을 만날 수는 없다. 우리와 합의하고 싶어 하는 150개 국가가 있다”고 덧붙였다.안영국 기자 ang@etnews.com 트럼프 1기 때인 2017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