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7-01 13:38

본문

202 2024년 6월7일 퇴역식을 앞둔 F-4E 팬텀 4대 필승편대가 지난 9일 49년 만의 국토순례 고별비행을 하고 있다. 맨 앞 패텀 4번기는 49년 전 방위성금헌납기 모습을 재연해 정글무늬 도장을 새로 했다. 나머지 3기는 회색 바탕에 ‘국민의 손길에서, 국민의 마음으로 1969~2024’라는 기념 문구가 새겨졌다. 문구 양 옆에는 팬텀의 고유 캐릭터인 ‘스푸크(spook·도깨비)’ 문양, 왼쪽엔 빨간마후라와 태극무늬를 더한 스푸크, 오른쪽에는 조선시대 무관의 두정갑을 입은 스푸크가 자리잡았다. 공군 제공 55년간 대한민국 영공을 지켜오다 퇴역한 ‘하늘의 도깨비’ F-4 팬텀이 20일부터 일반에 공개된다. 퇴역 기종은 1975년 우리 국민이 십시일반 모은 방위성금으로 구입한 ‘방위성금헌납기’ 행태를 그대로 재현한다.1일 전쟁기념사업회 등에 따르면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야외 부지에 오는 20일부터 F-4D 팬텀을 일반에 전시한다. F-4D전투기는 그동안 경남 진주의 공군교육사령부에서 정비 교보재 기체로 사용해 오던 것을 전쟁기념사업회가 인수했다. 기체는 지난해 경기도 수원의 공군 제10전투비행단에서 열린 퇴역식에 전시된 뒤 전쟁기념관으로 이전했다.전쟁기념사업회는 현재 기체 도장 보완·추가 고증 마킹·설명판 설치 등 추가 작업 중이다. 기체 재조립은 지난 26일 완료됐다. 팬텀은 총 5주간의 작업을 거쳐 전쟁기념관 야외전시장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기존에 전시 중이었던 미국 공군의 팬텀(F-4C) 바로 왼쪽 자리에 나란히 전시된다.우리 공군이 운용했던 F-4 팬텀은 총 187대다. 최초 우리나라는 1969년 미 정부가 제공한 특별 군사원조 1억 달러 중 6400만 달러를 들여 1개 대대분의 F-4D를 도입했다. 당시 북한은 성능이 뛰어난 미그(MiG)-21 등 최신 전투기도 보유하고, 군용기 보유 대수가 우리 보다 두 배가 많았다. 그러나 우리 공군은 당시 세계 최강의 전투기 팬텀의 도입으로 공군력 비대칭을 일거에 해소했다. 이번에 전시될 기체는 F-4D 기종을 과거 국민의 성금을 모아 구입한 ‘방위성금헌납기’ 모습으로 재현한 것이다. 1975년 ‘북한 김일성 중국 방문’ ‘베트남 공산화’ 등 안보위기 상황이 조성되자 국민들이 방위성금을 드론배송 서비스 관련 사진. 국토교통부 제공 국토교통부는 올해 23개 지방자치단체의 166개 지역에서 K-드론배송 서비스를 확대 시행하겠다고 1일 밝혔다. 제주 해녀가 딴 성게알, 혈액 검체 등으로 배송 물품이 다양해졌고, 섬 지역의 해안 순찰과 쓰레기 수거까지 드론이 도맡을 예정이다.국토부에 따르면 올해 44개 섬과 122개 공원 지역에서 생필품, 택배, 먹거리 등을 배송하는 K-드론배송이 실시된다.K-드론배송은 국토부 가이드라인에 따라 드론 비행로와 배송 거점, 실시간 상황 관리시스템을 사전 구축해 운영하는 한국형 드론배송체계로 지난해 본격 시작됐다. 지난해에는 14개 지자체 50개 지역에서 총 2993회, 1만635㎞ 거리의 드론배송이 이뤄졌다.특히 올해는 섬 지역의 주민 생활 안전을 위한 드론 공공서비스가 제공된다. 전남 여수시 상화도, 하화도, 제도에서는 배송을 마친 드론이 해안경찰과 협력해 인근 위험 지역에 대한 해안 순찰을 실시한다. 울산광역시 울주군 진하해수욕장에서도 올 하반기부터 드론 안전순찰을 시작한다.인천광역시 덕적도 인근 해변에서는 드론이 해양쓰레기를 수거할 예정이다. 무의도와 영흥도 인근 갯벌에서는 해안에서 손으로 어패류를 잡는 ‘해루질’ 사고 예방을 위한 드론 모니터링 서비스가 이미 시작됐다. 올해 이 드론서비스를 통해 4명이 이미 구조된 바 있다.섬 주민들은 드론으로 물품을 배송받는 것뿐 아니라 역으로 배송을 보낼 수도 있다. 제주 가파도에서는 해녀들이 당일 채취한 성게알을 제주도 지역 한정으로 7월 중순까지 드론으로 배송할 예정이다. 하루 최대 5㎏, 선착순 10명에 한정해 500g씩 상모리 드론배송거점으로 보낸다는 계획이다. 제주 비양도에서는 주민들이 잡은 새조개, 한치, 코끼리조개 등을 금능선착장 드론배송거점으로 배송한다.도심지의 혈액 검체를 드론으로 배송하는 시범 사업도 올해 진행된다. 대전광역시 국군대전병원과 적십자 대전 병원 간 15㎞ 이상 장거리 구간에서 혈액 검체를 드론으로 나르는 도심 드론배송 실증을 통해 군 긴급의료 업무에 K-드론배송 체계를 시범 적용한다는 계획이다.주종완 국토부 항공정책 20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