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5월은 대학 축제 기간이죠. 축제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6회 작성일 25-05-24 05:49

본문

[앵커]5월은 대학 축제 기간이죠. 축제마다 어김없이 유명 가수들의 공연이 진행되는데, 일부 재학생들이 공연 티켓에 웃돈을 얹어 암표 장사를 벌이고 있습니다.돈벌이 수단이 됐단 지적이 나오는 축제 현장, 밀착카메라 정희윤 기자가 취재했습니다.[기자]요즘 대학 축제 기간이 한창입니다.축제를 주관하는 대학본부와 총학생회마다 외부인 차단에 애쓰고 있습니다."재학생이 정작 즐기지 못한다"는 내부 불만도 나오는 데다, 예측한 수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몰리면 안전사고 우려가 커지기 때문입니다.각 학교는 재학생임을 검증하는 여러 대책을 도입했습니다.그런데 이게 또다른 부작용을 낳고 있습니다.인터넷을 찾아보니까요. 이 모바일 학생증이나 아니면 티켓을 돈을 주고 팔겠다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습니다.그래서 오늘 저희 취재진도 여기서 티켓을 구해서 아니면 학생증을 구해서 들어갈 수 있는지 한번 직접 연락해 보겠습니다.판매자는 서울 A대학 재학생.축제 공연장에 입장할 때 학생증과 신분증을 검사하는 학교입니다.거래 가격은 시세에 따라 2만원이라고 합니다.'실태 파악'을 위한 취재 목적으로, 직접 구매를 시도했습니다.약속한 곳에서 판매자를 만나니, 취재진 스마트폰에 모바일 학생증 로그인을 해주고, 본인의 신분증과 취재진 신분증을 교환했습니다.[A대학 재학생 : {직접 안 가시고 왜 파시는 거예요?} 오늘 별로 안 보고 싶어가지고. 여기 이거 누르면 학번 나오거든요. 학번 혹시 모르니까 외우고 가셔야…]취재진은 직접 축제 공연장 입장을 시도했습니다.학생증 주인 사진과 취재진 얼굴이 다르다 보니 추가로 신분증을 요구합니다.[신분증 사진 (보여주세요.)]판매자에게서 미리 받은 신분증을 보여줬습니다.[얼굴 확인할게요. 학번 말씀해주시겠어요? 생년월일 어떻게 되세요?]판매자의 학생증과 신분증으로 입장에 성공했습니다.곧바로 다시 나와 주최 측에 밀착카메라 취재진임을 밝혔습니다.[A대학 학생회장 : 막을 수 없는 점에 대해서도 저도 안타깝게 생각은 하지만 추가로 (발견되면) 퇴장 조치를 하고 있고 어제도 실제로 그렇게 몇 분 퇴장 처리한 사례가 있습니다.]서울 시내 B 대 장미로 물드는 첫번째 봄축제 24일부터 다음달 1일까지 포토스팟, 먹거리존, 공예체험 등 각종 즐길거리 가득 고인돌공원 ‘오! 해피 장미빛축제’ / 공지영기자 jyg@kyeongin.com 장미향 가득한 고인돌 공원에서 올해 마지막 봄나들이 어떨까. 23일 오전, 오산시 금암동 ‘고인돌 공원’을 찾았다. 처음 열리는 ‘장미빛축제’ 준비에 한창인 고인돌 공원 곳곳에 색색의 장미꽃이 폈다. 이번 봄, 변덕스러운 날씨 탓에 정성들여 심어둔 장미꽃이 아직 만개하지 못한 구간도 있었지만, 다양한 종의 장미꽃들이 화려하게 피어 있었다. 이날은 축제가 개막하기 하루 전이었지만, 공원 산책로마다, 공원 내 구역마다 활짝 핀 장미꽃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는 시민들이 눈에 띄었다.유럽 정원풍 시설물과 장미꽃이 잘 어우러진 ‘포토스팟’들이 곳곳에 마련돼 있어 가족단위 뿐 아니라 SNS 사진을 즐기는 청년들에게도 인기를 끌 만했다. 금암동에 거주한다는 한 시민은 “봄날씨가 들쑥날쑥해 완전히 다 피지 못해 조금 아쉽긴 하지만, 그래도 공원에 장미꽃이 가득해 정원에 온 것 같다”며 “멀리 가지 않아도 집 근처에서도 꽃축제를 즐길 수 있어 좋다”고 기대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오! 해피 장미빛 축제가 열리는 고인돌 공원 / 공지영기자 jyg@kyeongin.com 24일부터 다음달 1일까지 9일간 고인돌공원에서 열리는 ‘오! 해피 장미빛 축제’는 도심 한복판에서 장미정원을 거닐며 문화와 예술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마련됐다. 개막식은 오전 10시 공연과 함께 시작된다. 또 장미정원을 둘러싸고 플리마켓, 공예체험 등을 할 수 있는 부스가 구성됐고 각종 먹거리존에서 든든하게 배를 채울 수 있다.또 가족단위 방문객이 편하게 뛰어놀 수 있도록 ‘쉼터존’을 운영한다. 풀밭에 천막부스를 펼쳐 돗자리 등을 이용해 가족 소풍을 즐길 수 있도록 했다.장미꽃을 만끽하는 것 외에도 ‘맨발 황톳길’과 ‘여계숲길’을 즐길 수 있다. 직접 맨발로 황토 위를 걷는 맨발 황톳길은 최근 각광을 받으며 시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특히 시는 흙의 온도를 적절히 유지해 황토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