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국회사진기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 ajfoooo 댓글 0건 조회 4회 작성일 25-05-24 22:40

본문

[서울=뉴시스] 국회사진기자단 = 23일 서울 영등포구 KBS본관 스튜디오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선거 2차 후보자 토론회 시작에 앞서 이재명(왼쪽)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악수하고 있다. 2025.05.23. photo@newsis.com /사진= 1825만명.국내 5대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계정을 만든 투자자 수다. 업계에선 여러 거래소를 이용하는 중복 집계자를 제외해도 1000만명가량이 가상자산(코인) 투자자일 것으로 본다. 제21대 대통령선거에 나선 주요 후보들이 가상자산 관련 공약을 쏟아내며 '크립토 표심' 잡기에 나선 이유다.대선 후보들이 공통으로 내세운 공약은 '가상자산 현물 ETF(상장지수펀드)' 허용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모두 가상자산 현물 ETF 허용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더해 이 후보는 가상자산 통합감시시스템 구축과 거래래 수수료 인하 유도를 약속했다.김 후보도 경선 후보 시기 '가상자산 시장 활성화 및 산업 육성 전략'을 발표, 가상자산 현물 ETF 허용과 함께 △국민연금·한국투자공사 등 정부 기관의 가상자산 투자 허용 △금융사에 대한 가상자산 직접 투자 제한 폐지 △가상자산 관리·감독 체계 마련 등의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공언했다.스테이블코인도 주요 의제로 떠올랐다. 이 후보는 지난 8일 경제 유튜버들과 만나 "가상자산 시장을 제대로 관리하고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시장도 조성해야 국부 유출도 막을 수 있다"고 했다. 민주당에서는 스테이블코인 인가제 등을 담은 '디지털 자산 기본법' 발의를 준비 중이다.반면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2022년 발생한 테라·루나 사태를 거론하며 반대 의견을 표명했다. 이준석 후보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이재명 후보의 경제관은 언제나 위험하고 실험적"이라며 "스테이블코인 안에 들어갈 자산 담보나 시장 리스크를 어떻게 감당할지 설명이 필요하다"고 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업계는 비트코인 최근 연구에서 1936~2024년 사이 원자력발전소(핵발전소) 건설 프로젝트는 평균적으로 비용이 계획보다 두 배가 더 들고 공사 기간도 3년 가까이 늘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뱅크 발전소, 송전망 등 전세계 에너지인프라 건설 프로젝트들은 대체로 계획보다 건설 비용과 공사 기간을 초과(overrun)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가장 심한 것은 원자력발전소(핵발전소)로, 건설 비용은 두 배가 더 들고 공사 기간은 3년 가까이 늘어졌다.미국 보스턴대 글로벌지속가능성연구소(IGS) 연구진은 최근 국제학술지 ‘에너지연구와 사회과학’에 ‘규모의 경제를 넘어: 전세계 에너지인프라 프로젝트의 건설 비용 초과 위험과 납기 지연으로부터 얻는 교훈’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산업 발전, 최근엔 기후위기 대응 등을 위해 각종 에너지인프라를 짓겠다는 계획들이 쏟아지지만, 어떤 계획들은 계획보다 더 큰 비용과 기간을 잡아먹는다. 논문은 1936~2024년 전세계 83개국에서 진행된 에너지인프라 건설 프로젝트 662건의 데이터를 모으고, 이를 지열, 바이오에너지, 화력, 원자력, 수력, 풍력, 태양광, 고전압송전선, 수소, 탄소포집저장 등 10가지로 분류해 분석했다.평균적으로, 전체 662건 프로젝트들에 예상보다 40% 더 높은 건설 비용이 들어갔고 공사 기간도 계획보다 2년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비용 초과를 경험한 프로젝트는 전체의 5분의 3가량이었으며, 특히 용량이 1561㎿를 초과하는 대형 프로젝트에서 이런 경향이 두드러졌다. 가장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는 것은 원전이었다. 원전 프로젝트 215건을 건설하는 데에는 평균 15억6천만달러가 더 들어가, 비용 초과율은 102.5%에 달했다. 애초 계획보다 갑절의 비용을 더 들여야 했던 것이다. 원전 프로젝트 204건은 공사 기간도 64% 더 늘어나, 평균적으로 애초 계획보다 35달 더 걸렸다. 1936~2024년 에너지인프라 프로젝트들의 건설 비용 초과 현황. 계획 대비 비용 초과율은 원전이 102%로 가장 높고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