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페이지 정보

작성자 ajfoooo 댓글 0건 조회 10회 작성일 25-05-26 21:30

본문

사진=클립아트코리아 길거리를 걸어다니기만 해도 땀으로 온 등이 덮히기 일수인 여름에는 '수분 섭취'가 필수다. 이때 물보다 우유나 이온 음료를 마시면 더 효과적으로 오랫동안 체내에 수분을 유지할 수 있다. 우리가 수분을 섭취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물부터 탄산 음료, 커피, 차 등 물이 들어간 모든 음료로 수분을 보충할 수 있다. 다만 같은 양을 마셔도, 이 음료들이 몸에 머무는 시간은 전부 다르다. 어떤 음료를 마시는 게 수분 보충에 가장 효율적일지 영국 러프버러대 운동과학과 로날드 J 모건 교수팀이 분석했다.연구팀은 물, 콜라, 우유, 커피, 오렌지 주스, 맥주 등 13가지 음료 1L를 72명의 실험참가자에게 30분 동안 섭취하게 한 후 4시간 동안 배출한 소변량을 확인했다. 음료 섭취 후 체내 2시간 동안 유지된 수분 양(음료 수화 지수, BHI)을 분석한 결과, 물보다 우유와 수분 보충 용액(이온 음료)의 체내 수분 유지 시간이 더 길었다.물은 신체에 빠르게 흡수된 후 빠르게 소변으로 배출되지만, 두 음료는 물보다 소화기관에 더 머물기 때문이다. 우유는 물에 유당·단백질·지방·나트륨 등이 섞여 있어, 소화기관에 오래 머물며 천천히 체내로 흡수된다. 소변도 천천히, 더 적은 양이 배출됐다. 나머지 음료 대다수는 물을 섭취했을 때와 BHI가 비슷했다.오히려 체내 물이 더 많이 빠져나오게 하는 음료도 있었다. 주스와 탄산음료는 당분 함량이 높아, 소장에서 삼투압(물이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이동할 때 생겨나는 압력)이 작용해 오히려 체내 물이 소장으로 빠져나오게 했다. 이뇨 작용을 유발하는 커피는 용량에 따라, BHI가 달랐다. 커피를 네 잔 이상 마셔 300mg 이상의 카페인을 섭취하게 되면, 탈수를 일으켰다. 하지만 그 이하에서 섭취할 땐 물과 수분 공급량이 비슷했다. 연구팀은 커피 한 잔에 우유 한두 스풉을 더하면 수분이 더 오래 체내에 머물게 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탈수 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잘 알려진 또 다른 음료인 술 중에서는 맥주가 위스키보다 수분 손실이 적었다. 알코올 농도가 높을수록 탈수를 유발할 가능성이 건강하던 고양이가 갑자기 밥을 잘 안 먹고, 입에서 암모니아 냄새가 난다면 고양이에서 흔히 발생하는 질환인 ‘신부전’을 의심해봐야 한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건강하던 고양이가 갑자기 무기력하고 밥을 잘 안 먹는다면 고양이에서 흔히 발생하는 질환인 ‘신부전’을 의심해 봐야 한다. 신부전은 몸에서 노폐물을 걸러내고 조혈 호르몬을 만들어내는 기능을 하는 신장에 이상이 생긴 질환이다. 단순히 신장이 안 좋은 게 아니라 제 기능을 못 하는 수준일 때 신부전이라 한다. 발병률은 7~10세 고양이에서 약 12%, 10~15세 고양이에서 약 30%다. 신부전은 발생 원인과 증상 정도에 따라 ‘급성 신부전’과 ‘만성 신부전’으로 나뉜다. 급성 신부전은 ▲신우신염 ▲세균 감염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 ▲독성 물질 섭취 ▲저혈압 ▲심근증 ▲쇼크 ▲빈혈 ▲탈수 등에 의해 발생한다. 갑작스럽게 식욕과 기력이 떨어지고 입에서 암모니아 냄새가 나는 것이 대표 증상이다. 증상 정도에 따라 혈변을 보거나 빈뇨, 체온 저하, 경련, 졸도, 요독증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증상이 관측되면 병원을 방문해 치료해야 한다. 증상에 따라 구체적인 치료 방법은 다르지만, 보통 이뇨제를 투여하고 수액 요법을 진행한다. 신장 기능을 회복하고 구토와 설사로 인한 탈수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독성 물질에 노출돼 질환이 발생했다면 위를 세척할 필요가 있다. 심할 경우 혈액 투석을 하기도 한다. 급성 신부전 치료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빠른 진단과 치료다. 완치가 어려운 만성 신부전과 달리 급성 신부전은 신속히 치료하면 신장 기능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만성 신부전은 ▲노화 ▲유전적 요인 ▲탈수 ▲독성 물질 노출 등에 의해 발생한다. 만성 신부전은 초기 발견이 어렵다. 증상이 보호자의 눈으로 관찰될 정도면 짧게는 몇 달, 길게는 몇 년 전부터 질환이 진행되고 있었다는 뜻이다. 급성 신부전과 마찬가지로 식욕이 떨어지고 체중 감소, 다음증, 다뇨, 구토, 빈혈, 혼수상태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만성 신부전은 완치가 어렵다. 따라서 평소에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환의 핵심 원인 중 하나로 탈수가 언급되는 만큼 평소 반려묘가 물을 충분히 마실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화장실을 청결히 관리해 소변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