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3일 서울 영등포구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7회 작성일 25-05-27 10:38본문
지난 23일 서울 영등포구
지난 23일 서울 영등포구 KBS본관 스튜디오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선거 2차 후보자 토론회 시작에 앞서 각 정당 대선후보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더불어민주당 이재명·국민의힘 김문수·개혁신당 이준석·민주노동당 권영국 대선 후보. 국회사진기자단 더불어민주당 이재명·국민의힘 김문수·개혁신당 이준석·민주노동당 권영국 대선 후보가 27일 마지막 TV 토론에 나선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주관하는 이번 토론은 정치 분야를 주제로 오후 8시 서울 마포구 MBC 스튜디오에서 진행된다.후보들은 먼저 ‘정치 양극화 해소 방안’과 관련해 1분 30초 동안 입장을 밝힌 뒤 6분 30초씩 시간총량제 방식으로 토론을 벌인다.이들은 이어 정치개혁과 개헌, 외교·안보 정책을 주제로 공약 검증 토론을 진행한다. 각 후보는 1분 30초씩 자신의 공약을 발표한 후6분 30초간 주도권 토론을 한다.개헌과 대선 결선투표제, 국회의원 정수 등 정치개혁안이 주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다수의 수사와 재판을 받고 있는 이재명 후보에 대한 다른 후보들의 공세가 펼쳐질 것으로 예상된다.이재명 후보는 이날 다른 유세 일정은 잡지 않은 채 토론 준비에 집중한다. 그간 공약으로 내세웠던 대통령 ‘4년 연임제’ 등 권력 분산 중심의 개헌을 강조한다는 계획이다.또 집권 이후 정적에 대한 정치 보복을 하지 않겠다고 밝힌 만큼, 국무총리 국회 추천제 등의 공약을 설명할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후보는 윤석열 전 대통령 당시 문제됐던 점을 극복하는 개혁안을 내놓고, 이번 대선이 윤 전 대통령의 불법 계엄으로 인해 치러진다는 점을 재차 강조할 전망이다.김문수 후보는 자신의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하는 ‘4년 중임제 개헌’을 공약했다. 개헌 공약에서 임기 단축을 사실상 배제한 이재명 후보를 상대로 개헌 의지의 진정성을 따질 수 있다.김문수 후보는 대통령 불소추특권 폐지,대법관·헌법재판관의 중립성·독립성 확보, 국회의원 불체포·면책특권 폐지 등을 개헌의 주요 방향으로 제시했다. 민주당이 비(非)법조인의 대법관 임명을 가능하게 하는 법안과 대법관을 100명으로 증원하는 내용의 법안을 제출했다 철회하기로 한 것을 지난 25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 철공소 골목. 대체로 한가한 모습이지만 곳곳에선 철을 깎고 자재를 옮기는 등 분주하게 일하고 있었다. /사진=오석진 기자. 지난 25일 기자가 찾은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 철공소 골목에는 문을 닫은 업체가 즐비했다. 골목 중간중간 위치한 카페에선 음악이 흘러나왔다. 음악과 달리 철 깎는 소리는 이어지지 못하고 자주 끊겼다. 한 작업자는 조용한 공장에서 꾸벅꾸벅 졸고 있었다. 한 외벽에는 '작업자들의 초상권을 존중해주세요'라는 팻말이 붙었다. 골목 방문객들이 인증샷을 남기면서 철공소 직원들까지 찍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철재 열기를 식히려 물을 뿌리던 60대 A씨는 "임대료만 달에 500만원"이라며 "주변으로 카페랑 술집이 들어와 인기가 많아지니까 임대료가 올랐다"고 말했다. A씨는 "원래 125만원씩 냈는데 버틸 수가 없다. 일감이 줄어드니 부도 난 곳도 많다"고 했다. '대한민국의 철은 문래동을 지난다'는 말이 무색하게 철공소 소상공인들이 문래동을 떠나고 있다. 1960년대 형성된 문래동 철공소 골목은 청계천 철공소들이 넘어오면서 국내 최대 철공단지로 부상했다. 금형, 열처리 등 거의 모든 기초 공정이 가능해 '설계도만 있으면 탱크도 만든다'는 우스갯소리가 나오던 장소였다. 하지만 1990년대부터 철강 산업이 쇠퇴기로 진입하면서 문래동 철공소 골목 역시 직격탄을 맞았다.문래동에서 30년 일했다는 김모씨는 "경기 시화공단과 인천 남동공단으로 다 빠져나가고 남은 사람들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며 "체감상 60% 이상 (상권이) 죽었다"고 말했다. 김씨는 "예전엔 트럭이 많은 정도가 아니라 빨리 비키라고 싸움도 났다"며 "도로는 좁고 트럭은 계속 들어와야 하니 공장끼리 자리싸움이 장난 아니었다"고 했다. /그래픽=이지혜 디자인기자. 문래동이 변하기 시작한 건 2000년대부터다. 임대료가 낮은 폐업 공장을 작업 공간으로 활용하면서 예술인들이 자리잡기 시작했다. 이후 철공소와 작업실이 공존하는 독특한 분위기가 형성돼 청년들의 방문이 늘었다. 곳곳에 이들을 겨냥한 카페, 음식점, 술집 등이 생기면서 상권이 형성됐다. 문래동이 MZ세대의 핫플레이스로 뜨자 임대료가 크게 뛰었다.영등포구청에 따르면 문래동 철공소의 90% 이상은 매달 임대료를 내야 하는 임차 공장이다. 젠트
지난 23일 서울 영등포구
- 이전글바이브. 블루게임 본사직영입니다. chgame.co.kr 바이브. 블루 새우깡 25.05.27
- 다음글기준을 정하다 근데 왜 이렇게 힘들어질까요?” 25.05.2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