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어사전 > 세계한잔 ※[세
페이지 정보
작성자 afht43oso 댓글 0건 조회 4회 작성일 25-06-08 13:57본문
「 용어사전 > 세계한잔 ※[세계한잔]은 우리 삶과 맞닿은 세계 곳곳의 뉴스를 에스프레소 한잔처럼, 진하게 우려내 한잔에 담는 중앙일보 국제팀의 온라인 연재물입니다. 」러시아의 한 경제특구에서 공부도 하고 돈도 벌 수 있다며 아프리카 젊은 여성들을 수백명 고용한 뒤 자살드론 조립을 시키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최근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러시아 볼가 연방관구에 속한 타타르스탄공화국의 옐라부가 경제특구는 '옐라부가 스타트'라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특구 측은 "요식업, 숙박업 분야 등의 흥미로운 일-학습 프로그램"이라고 홍보했다. 러시아의 한 경제특구에서 공부도 하고 돈도 벌 수 있다며 아프리카 젊은 여성들을 수백명 고용한 뒤 자살 드론 제조를 시키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유튜브 그러나 비영리단체 국제조직범죄방지기구에 따르면 근로자 대다수는 이란의 설계가 적용된 러시아산 자살드론 제조에 동원됐다. 지난해부터 서방의 제재를 받는 옐라부가 특구는 군사적 중요성이 커서 우크라이나의 주요 공격 타깃이기도 하다. 실제로 지난 4월 23일 우크라이나 드론이 옐라부가 경제특구를 공격했었다. 지난해에도 비슷한 공격으로 현지 기숙사에 살던 아프리카 여성 여럿이 다쳤다. 매체는 "아무리 절박하거나 무모해도 군사적 표적이 되려고 하는 학생이나 이주 노동자는 거의 없다"며 "그러나 젊은 아프리카 여성 수 백명은 자신도 모르게 이런 상황에 부닥쳐 있다"고 전했다. 한 우크라이나 외교관은 "아프리카 여성이 우크라이나 미사일의 표적이 될 가능성이 높다"며 "이는 비극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근로자 대다수는 이란의 설계가 적용된 러시아산 자살 드론(무인항공기) 제조에 동원됐다. 옐라부가 홈페이지 옐라부가 특구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부터 드론을 생산했다. 처음에는 현지 학생들이 조립 생산에 투입됐다. 하지만 일손이 달리자 공장주들이 값싼 해외 노동력을 찾기 시작했다. 매체는 "표면적으로는 전 세계 인재를 채용한다고 했지만, 실제 채용된 인력 대부분은 아프리카인이었다"며 "특히 채용 담당자들이 18~22세 여성을 염두에 뒀다"고 했다. "일하는데 여성 특유의 꼼꼼함이 요구된다"면서다. 하지만 실제 이유는 다른 데 있었다고 한다. 젊은 여성을 선호하는 이유가 통제하기 쉽기 때문이라는 것이 서울시립 사진미술관 개관특별전 ‘광채 : 시작의 순간들’에 전시 중인 이형록의 ‘구성’(1956). 서울시립 사진미술관 제공 조선 시대 양곡 창고가 있던 서울 도봉구 창동은 ‘창고가 있는 동네’라는 뜻을 품고 있다. 창동에 2만여 장의 사진을 품고 한국 사진의 역사를 선보이는 자리가 열렸다. 국내 최초의 사진 특화 공립미술관으로 문을 연 서울시립 사진미술관이 개관한 것이다.서울시립 사진미술관은 지난달 29일 개관 특별전과 함께 문을 열었다. 2015년 건립 준비를 시작한 뒤 10년 만이다. 국내에는 서울 뮤지엄한미, 부산 고은사진미술관 등 사진만 전문적으로 다룬 사립미술관은 있었으나 사진 특화 공립미술관은 없었다.연면적 7048㎡, 지하 2층·지상 4층 규모의 미술관은 서울 지역의 균형 발전이라는 명분으로 도봉구 창동에 자리했지만, 지역 명칭의 유래인 창고처럼 1920~1990년대의 사진 및 관련 자료 총 2만여점을 소장했다. 20세기 전후 100여년 사이에 활동했던 사진가들을 조사해 그들의 목록을 정리했고, 사진작가 26명의 작품은 컬렉션으로 꾸렸다. 건립에 착수했을 때부터 10년 넘는 기간의 작품 수집 및 연구를 해온 것인데, 그 결과물이 개관 특별전인 ‘광채 : 시작의 순간들’과 ‘스토리지 스토리’이다. 서울시립 사진미술관 개관특별전 ‘광채 : 시작의 순간들’에 전시 중인 조현두의 ‘잔설’(1966). 서울시립 사진미술관 제공 ‘광채 : 시작의 순간들’은 한국에 사진 기술이 도입된 때부터 20세기 말에 이르는 한국 사진 역사에 의미 있는 자취를 남긴 작가 5명을 조명하는 전시다. 각자 개성이 뚜렷하다. 1929년 한국인 최초 사진 개인전을 연 정해창은 회화적 구도나 대형 인화 등의 실험적인 작업을 시도했다. 이형록은 한국전쟁 이후 도시 건설 현장부터 거리에서 볼 수 있는 어린아이들까지 다양한 시민들의 삶을 촬영했다. 임석제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추구하며 해방 후 노동자와 현실을 사진으로 표현했고, 조현두는 그와 반대로 사물이나 풍경보다는 실험적인 추상 사진을 선보였다. 1960년대부터 왕성히 활동하다 1980년대부터 여성주의 작업에 천착해 온 박영숙까지, 이들의 작품 170여점 중 대다수는 미술관 소장품이다. 스크랩북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