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성수 기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6-17 23:33본문
[이데일리 김성수 기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아직까지 인플레이션을 크게 자극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시장 변동성이 높아져 신흥시장 주식·채권·통화 모두 긍정적 영향을 받겠으며, 특히 한국 주식과 원화 가치가 오를 것으로 보입니다.”벤 루크(Ben Luk) 스테이트스트리트 마켓 수석 멀티에셋 전략가는 17일 서울 중구 수하동 미래에셋센터원 빌딩에서 열린 ‘미디어 라운드테이블’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미국 기술주 긍정적 전망…EPS, 시장 200배”스테이트스트리트는 자산 시장 인텔리전스를 활용해 투자자 행동 패턴, 리스크 분석, 실시간 물가변동 현황 등을 분석한다. 이날 강연자로 나선 루크 전략가는 스테이트스트리트에서 글로벌 마켓의 전술적 자산배분 전략을 주도하고 있다. 스테이트 스트리트 마켓의 벤 루크 수석 멀티에셋 전략가가 17일 라운드테이블에서 강연하고 있다. (사진=김성수 기자) 루크 전략가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에 얼마나 영향을 줬는지 분석한 결과 아직은 위험이 없다는 결론이 나온다”며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급하게 금리인하를 단행할 필요가 없으며, 올해 두 차례 금리인하를 예상하는 시장 전망이 한 차례로 조정돼야 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루크 전략가는 미국 국채에 대해 ‘비중축소’ 의견을 견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 국채수익률이 더 높아질 여지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과거에는 주식·채권가격이 역(-)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지금은 양(+)의 상관관계로 바뀌었다”며 “그 결과 주가가 떨어지면 투자자들이 충격에 대한 보상으로 2배 이상의 텀 프리미엄을 요구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반면 미국 주식에 대해서는 기술주 중심으로 낙관적 견해를 피력했다. 그는 “기술주의 주당순이익(EPS)이 시장 수준보다 200배 이상 높다”며 “우리 회사가 가장 긍정적으로 전망하는 자산 중 하나가 미국 기술주”라고 설명했다.이어 “작년 7월에는 기술주에 대한 비중확대 정도가 1.6% 정도로 가장 높았다”며 “반면 올해 4월에는 0.1%“우리나라 자율주행차 기술 발전을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전략적 연구개발(R&D)과 정책 설계가 시급합니다.”하성용 한국자동차모빌리티안전학회(KASA) 회장은 “자율주행차가 21세기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핵심 축으로 부상하고 있지만, 한국은 미국이나 중국보다 빅데이터를 비롯한 기술 수준이 80~90%에 불과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하성용 한국자동차모빌리티안전학회(KASA) 회장 중부대 스마트모빌리티공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미래차 인력을 양성 중인 하 회장은 올해 KASA 제10대 회장에 취임한 데 이어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 위원회 공동위원장을 맡는 등 우리나라 모빌리티 산업 발전에 힘을 쏟고 있다.하 회장은 “레벨4 이상 완전 자율주행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AI) 판단력은 여전히 사람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다”며 “예측 불가능한 도로 상황과 비정형 객체 인식, 악천후 환경 대응 등을 위한 정밀 지도, 실시간 위치 정보 정확도 확보 등이 현재 가장 과제”라고 말했다.그는 자율주행 상용화를 위한 제도적·사회적 과제로서 기술과 법·제도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하 회장은 “자율주행차 상용화 촉진과 지원에 관한 자율주행차 법률이 제정됐으나, 현재 우리나라 자동차 관련 법·제도는 대부분 포지티브(최소 허용) 규제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법률에 명시된 사항 이외에는 불법으로 간주되고 있다”고 지적했다.이어 “자율주행차 사고 발생 시 책임 주체에 대한 법적 기준이 모호하고, 보험 체계나 윤리적 판단 기준도 명확하지 않다”며 “사회적 수용성 역시 아직 낮고, 국민 다수가 자율주행차의 안전성에 대해 불신이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덧붙였다.그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 차원 R&D 정책 방향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하 회장은 기술 융합형 R&D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AI와 센서, 통신, 사이버보안, 정밀지도 등 자율주행 관련 핵심 기술을 융합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R&D를 지원하고 기업과 대학, 연구기관간 협업 체계를 촘촘히 구축하자는 것이다.그는 “법·제도 정비와 국민 수용성 제고가 필요하다”며 “자율주행차 사고 책임 분담에 대한 법적 기준을 조속히 마련하고,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한 보험, 교통규제 체계 등도 범부처 단위로 사전 정비해야 한다”고 말했다.마지막으로 하 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