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온다습한 여름은 피부의 적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07-03 23:26

본문

고온다습한 여름은 피부의 적이다. 자외선 노출이 많아지는 시기로 기미, 주근깨, 여드름 등 피부 트러블이 생기기 쉽고, 과도한 유분으로 피부 번들거림이 심해진다. 특히 등산, 캠핑, 골프 등 야외활동 후라면 장시간 햇빛 노출로 인해 피부 온도가 높아진 상태. 그대로 방치하면 피부 건조로 잔주름이 생기기 쉽고 피부결이 거칠고 칙칙해진다.그래서 야외활동 후에는 손상된 피부를 진정시키는 애프터 선케어가 반드시 필요하다. 피부 상태에 맞는 화장품을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지만 매일 변하는 피부 상태에 따라 재료를 선택해 맞춤형 홈케어를 해주면 더 효과적이다.과일이나 야채, 곡류 등 집에 있는 식재료를 이용해 1회 사용하기 적당 양의 천연팩을 만들어 사용하면 가장 신선한 화장품이 된다. 야외활동으로 피부가 검게 타거나 햇빛에 오래 노출되어 선번을 입은 상태라면 즉각적인 진정 관리가 필요하다. 피부 보습을 도와주고 즉각적으로 온도를 낮춰주는 가장 좋은 재료는 감자, 알로에, 오이 등이다. 그 중 감자는 가장 강력한 피부 진정제다. 감자는 쉽게 갈변하는 재료이므로 빠르게 갈아 사용하는데, 묽은 상태이기 때문에 밀가루를 넣어 농도를 맞춰 준다. 감자와 밀가루 모두 미백 효과가 뛰어난 재료로 피부 진정에 효과적이다. 여기에 꿀을 조금 추가하면 촉촉함까지 더할 수 있다. 자외선으로 피부가 붉어지고 거친 느낌이 든다면 보습효과가 있는 바나나팩이 알맞다. 바나나 반 개를 곱게 으깬 뒤, 꿀과 밀가루를 약간 섞어 사용한다. 아보카도도 보습제로 좋은데, 아보카도 반 개를 잘 으깬 뒤 흑설탕과 요플레를 한 숟가락씩 넣어 사용한다. 피부에 맞는 재료 선택 중요천연팩은 성분이 그대로 피부에 스며들기 때문에 자신의 피부 타입과 맞는지 살펴야 한다. 피부에 자극을 주는 성분은 오히려 피부를 상하게 할 수 있으므로 평소 피부가 예민한 편이라면 부담 없는 재료를 선택한다. 오이, 사과, 수박 등은 모든 피부에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고, 건성피부라면 보습효과가 뛰어난 바나나, 계란, 아보카도 등이 적합하다. 번들거림이 심한 지성피부라면 피지 조절에 효과적인 양 치료 목적 성형수술 행하는 북한 의사. 인민보건 홈페이지 캡처=연합뉴스 “국가는 사람들의 외모를 건강하고 아름다운 모습으로 치료하는 데 복무하는 성형외과 치료를 끊임없이 발전시켜 나가도록 한다.”미국 북한 전문 매체 38노스는 2일 북한의 ‘성형외과치료법’ 전문을 공개했다. 이 법은 2016년 제정된 뒤 2019년, 2024년 두 차례 개정돼 현재 시행 중이다. 이번 전문 공개는 북한 스마트폰에 탑재된 법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확인됐다.북한은 성형 수술에 대해 “인민들이 건강하고 아름다운 외모로 행복하고 문명한 생활을 마음껏 누릴 수 있도록 치료 조건을 보장하는 것은 인민대중 중심의 사회주의 제도의 본성적 요구”라고 규정했다. 국가 차원에서 성형외과 치료를 발전시켜야 한다는 점도 명시했다.실제 북한 내 성형 수술은 비교적 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성형외과치료법 제11조(치료 대상)에는 선천성 기형, 화상, 종양 치료 등 외모 변형 환자를 우선 대상으로 제시하고, “손상은 없으나 외모를 보다 아름답게 하기 위해 성형외과 치료를 요구하는 대상”에게도 시술을 허용해 미용 목적 수술의 폭을 넓혔다.그러나 모든 성형수술이 허용되는 것은 아니다. ‘얼굴을 완전히 다른 사람의 모습으로 변형하는 수술’이나 ‘지문 변경’은 금지됐다. 38노스는 이에 대해 “내부 보안 목적 때문으로 보인다”며 “북한에서 생체 인식 보안이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북한 여성 노동자의 성형수술 전후 사진. 북한의 주간 영자신문이 2015년 공개한 사례. 2006년 평안북도 대관군의 공장 화재로 심각한 얼굴 화상을 당한 여성 노동자 림송미(28)가 8년에 걸친 성형수술로 외모를 회복했다. 평양타임스는 림송미의 4년 전과 현재의 얼굴을 나란히 비교하는 사진도 게재했다. 연합뉴스 또 ‘성전환 수술’은 원칙적으로 금지하면서도 ‘특이한 경우’에 한해 예외를 인정했지만, 구체적인 기준은 명시되지 않았다.한국에서 흔한 눈썹 문신도 북한에서는 금지됐다. 북한은 이를 “사회주의 생활양식에 맞지 않는 성형외과 치료”로 규정하며, 단순 미용 목적의 시술에도 이념적 기준을 적용했다. 속눈썹 문신 등도 같은 이유로 제한된다.북한에서 성형수술은 성형외과 전문병원과 중앙급 병원, 도급 병원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